일반적으로 정보 보안의 3요소는 다음의 세 가지를 말한다.
기밀성(Confidentiality): 허락되지 않은 사용자나 객체가 정보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한다.
무결성(Integrity): 허락되지 않은 사용자나 객체가 정보를 수정할 수 없도록 한다.
가용성(Availability): 허락된 사용자라면 언제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보안에는 다음의 두 요소가 추가되고,
서버 인증(Server Authentication)
클라이언트 인증(Client Authentication)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1. 기밀성
> 서버-클라이언트, 서버-서버, 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 간 데이터 전송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는가?
공격 기법: Sniffing
보안 대책: 통신의 암호화
2. 무결성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가 변조되지 않고 전송되는가?
공격 기법: Session Hijacking, MITM(Man In The Middle)
보안 대책: 통신의 암호화 - PKI
3. 가용성
> 언제든 필요할 때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가?
공격 기법: DoS(Denial of Service Attack)
보안 대책: DoS 공격은 여전히 대응이 어렵다.
4. 서버 인증
> 클라이언트가 올바른 서버로 접속하는가?
공격 기법: DNS Spoofing, Server pharming
보안 대책: SSL(HTTPS) - 사용자에게 경고를 보여줄 뿐 강제적인 서버 인증은 아직 없다.
Ex) 윈도우 정품 인증
① 인증을 위해 윈도우가 인증 서버에 값을 요청한다.
② 거짓 인증 값을 돌려주는 프로그램을 해당 컴퓨터에 설치한다.
③ 운영체제가 요청하는 인증 서버의 IP를 루프백 IP(127.0.0.1)로 한다.
④ 운영체제는 거짓 인증 값을 돌려주는 프로그램을 인증 서버로 인식해 정품 인증을 완료한다.
5. 클라이언트 인증
> 올바른 클라이언트가 접속을 시도하는가?
공격 기법: Spoofing, Session Hijacking, Fishing
Ex) ID & Password
'Hac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DHCP 취약점 (0) | 2021.02.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