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노트/거시경제학

(9)
[거시경제학] 5주차: 통화공급 모형 외생변수 본원통화(Monetary base) $B = C + R$ 전적으로 중앙은행에 의해 통제된다. 지급준비금-예금 비율(Reserve-deposit ratio) $rr = R/D$ 법규와 은행정책에 의존적이다. 기본적으로 일반은행이 조절하지만 최소한도는 법에 의해 정해진다(법정지급준비율) 따라서 은행은 이 비율보다 더 많이 지급준비금을 둘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지급준비금 = 법정지급준비금 + 초과지급준비금 지급준비율 = 법정지급준비율 + 초과지급준비율 현금-예금 비율(Currency-deposit ratio) $cr = C/D$ 전적으로 가계의 선호도에 의존한다(현금을 예금에 더 많이 둘지 적게 둘지는 가계 마음대로니까). 통화 승수 $M = C + D$ $M = \frac{C + D}..
[거시경제학] 5주차: 화폐 물가가 상승하면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수가 적어진다. = 화폐가치가 떨어진다 => 물가 상승 = 화폐가치 하락 화폐는 누가, 얼마나 공급하는가? 은행이 공급한다. 은행은 일반은행(KB, 신한, IBK, etc.) 중앙은행(한국은행)으로 나뉜다. 재화와 서비스는 누가, 얼마나 공급하는가? 기업이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만큼 공급한다. 은행은 어떻게 화폐공급량을 결정하는가? 정의 결제 시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산의 저량(The stock of assets) '10억을 벌고 싶다' = 주식이든, 금이든 10억에 상당하는 '부(wealth)'를 쌓고 싶다 화폐는 부의 한 형태다. 기능 교환의 매개수단(Medium of exchange)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화폐를 사용한다. 화폐만이 할 수 ..
[거시경제학] 4주차: 총수요 저번주: 무엇이 생산을 결정하는가? 그 생산은 자본가와 노동자에게 어떻게 분배되는가? 이번주: 생산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총 수요의 구성요소 $C$: 재화와 용역에 대한 소비자 수요 (= 소비) $I$: 투자재에 대한 수요(= 투자) $G$: 재화와 용역에 대한 정부 수요(= 정부 구입) $NX$ = $EX - IM$: 순수출 - 폐쇄경제를 가정할 경우 이 수치는 0이 된다. 소비($C$, Consumption) 보통 이게 제일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가처분소득(Disposable income) 소비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 (총소득) - (총조세) = $Y-T$ 소비함수 $C = C(Y-T)$ $\therefore\;\; C \propto (Y-T)$ 한계소비성향: MPC(Marginal Pro..
[거시경제학] 3주차: 국민소득 한 경제의 총생산과 총소득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생산요소의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총소득은 어떻게 분배되는가? 재화와 용역에 대한 수요를 결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재화시장의 균형은 어떻게 달성되는가? 공급 측면 생산요소 $K$ = 자본(Capital): 생산에 사용되는 도구, 기계, 장비 $L$ = 노동(Labor): 노동자들의 물적, 정신적 노력 $Y=F(K,L)$: $K$ 단위의 자본과 $L$ 단위의 노동을 결합해 얼마나 많이($Y$)를 생산할 수 있는가? -> 해당 경제의 기술 수준을 반영한다. 규모에 대한 수확불변(Constant returns to scale)을 가정한다. 규모에 대한 수확 처음에는 $Y_1=F(K_1,L_1)$이라 하자. 모든 투입믈을 $z$배 증가시켜$K_2=zK_1..
[거시경제학] 2주차: 실업률 취업자(Employed): 보수를 받으며 일하고 있는 사람 실업자(Unemployed): 일하고 있지 않으며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 - 엄밀히는 근로를 할 수 있으며 최근 4주 간 구직활동을 했던 사람 + 해고된 일자리로의 복직을 기다리는 사람 경제활동인구(Labor force):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노동인구(취업자+실업자) -> 근로의사가 있는 사 람 비경제활동인구(Not in the labor force): 실직 상태이면서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 -> 근로의사가 없는 사람 $(Labor\; force) = (Employed) + (Unemployed)$ $(Unemployed\; rate) = \frac{Unemployed}{(Labor\;force)} \times 100$ $(Labor-..
[거시경제학] 2주차: CPI 인플레이션(Inflation): 전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것 인플레이션율(Inflation rate): 인플레이션을 %로 나타낸 것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 대표 재화 및 서비스 (묶음)을 선정해 물가를 측정한다 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물가를 측정하지 않는가? 모든 가격의 평균을 계산할 경우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균등하게 취급하게 된다. 그러나 더 많이 사는 물건에 더 많은 가중치를 둬야 한다. 1. 전형적인 소비자가 구입하는 재화의 basket 구성을 조사한다. 2. 매월 그 재화의 가격을 수집해 basket 비용을 계산한다. 3. 특정 월의 CPI는 (해당 월의 basket 비용) / (기준 월의 basket 비용)으로 계산된다. 이 때 가중치는 장바구니 구성..
[거시경제학] 2주차: GDP 한 나라의 거시경제의 성과가 좋은지 나쁜지는 다음의 세 가지 지표로 판단할 수 있다.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한 나라의 경제에서 생산이 얼마나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가? CPI(Consumer Price Index: 평균 생활비 변동이 얼마나 되는가? 실업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가? GDP 일정 기간동안 한 경제 내에서 생산된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 '한 경제': = 한 나라 '최종 재화': 중간재는 고려하지 않음 '시장 가치': 화폐로 측정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은행이 분기에 한 번씩 발표함 측정 목적 :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경제활동의 화폐가치를 간단하게 수치로 나타내는 것 -> 국민소득의 지표 국민소득: 국가경제의 생산, 소득..
[거시경제학] 1주차 (2): 경제 모형 - 복잡한 현실을 단순화해 나타낸다: 관련이 없는 세부사항들은 제거한다. - 왜 경제모형인가? ⓐ 경제변수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 경제의 행태를 설명한다 ⓒ 경제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을 마련한다 수요와 공급 Demand: $Q^d = D(P, Y)$ -> 수요는 가격과 총소득의 함수 Supply: $Q^s = S(P, P_m)$ -> 공급은 가격과 재료가격의 함수 Q. 소득이 증가하면 자동차 가격은 어떻게 될까? 소득 증가 -> 수요 증가 -> 균형 수량 및 가격 상승 Q. 철강 가격이 상승하면 자동차 가격은 어떻게 될까? 철강 가격 상승 -> 자동차 생산 감소 -> 자동차의 균형 가격 상승, 수량 감소 변수 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 모형 안에서 결정쇠는 변수 = 모형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