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노트/미시경제학

(10)
[미시경제학] 7주차: 장기비용,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자본의 임대료 자본시장이 경쟁적이면 임대료는 자본의 사용자 비용 $r$과 같아야 한다. 즉 $r$과 다르면 균형이 아님 자본의 비용이 10%인데 임대료가 15%면 누가 임대해... 따라서 동일한 자본의 비용은 어떻게 조달하든 $rK$로 같다. = $rK$안에 모든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 등비용선 단기비용에서는 자본을 바꿀 수 없고 노동만 바꿀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자본과 노동 모두 바꿀 수 있다. 등비용선(isocost line) 주어진 총생산비용으로 구매 가능한 노동과 자본의 모든 조합을 이은 선 $C = wL + rK$ = (노동비용) + (자본비용) 물론 원료비도 있지만 생산량에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거라 고려하지 않아도 ㄱㅊ $C = wL + rK$ $K = \frac{C}{r} - \frac{..
[미시경제학] 6주차: 생산비용 - 단기비용 회계적 비용(= 명시적 비용) 실제지출 + 감가상각비용 경제적 비용(= 기회비용) 선택에 따른 진정한 비용 명시적 비용 + 암묵적 비용 암묵적 비용 자원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사라진 기회에 따른 비용 Ex) 명시적 비용: 학교 다니는데 드는 비용(등록금, 교재비, 기숙사비, etc.) 암묵적 비용: 학교 안 다니고 취업했을 때 얻었을 소득 -> 기회비용: '일하지 않고 학교에 다닌다'는 선택에 의해 지출되는 '진짜' 비용 매몰비용(sunk cost) 지출 후 회수할 수 없는 비용 ->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면 안 됨 감가상각이랑 다름(중고는 싸게 팔 수 있음) Ex) 가게를 열 때 지출한 인테리어 비용은 가게를 그만둬도 회수할 수 없음 고정비용과 변동비용 암묵적 비용도 포함됨 총비용(total..
[미시경제학] 6주차: 노동생산성 - 등량곡선 노동생산성 산업 전체 혹은 경제 전체로 본 노동의 평균생산물: $\frac{Q}{L}$ 노동생산성을 증가시키려면 자본량(Stock of capital)을 늘린다(물적자본, 인적자본 둘 다 해당). 쉽게 말해 포크레인이 많아지고 교육 수준이 올라가면 노동생산성이 증가함 기술 변화: 생산요소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왜 자본생산성이라는 말은 잘 안 쓰는가? 노동자가 임금을 받고 소비를 함 임금은 노동자의 생산성에 비례함: 임금은 생산성에 직결됨 생산함수 $Q = F(L, K) = AL^{\alpha}K^{1-\alpha}$ $A$: 상수 $\alpha: 0 \leq \alpha \leq 1$인 상수. 관측을 통해 정할 수 있다. 변동생산요소가 둘일 때의 생산 노동과 자본 둘 다 변동될 때..
[미시경제학] 5주차: 외부효과 네트워크 외부효과(Externality) 개별 수요가 다른 사람들의 구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황 시장수요 = 개별수요의 합 긍정적 외부효과: 다른 구매 증가 -> 개별 수요 증가 -> 시장수요 증가 부정적 외부효과: 다른 구매 증가 -> 개별 수요 감소 -> 시장수요 감소 가격 하락 -> 수요량 증가, 수요 증가 긍정적 네트워크 외부효과 다른 사람이 많이 쓰면 나도 쓰고 싶음(Bandwagon effect) 이 경우 개인의 재화 구매량은 다른 이들의 구매 증가에 따라 같이 증가한다. $D_{40}$을 보자. 가격이 30에서 20으로 떨어지면 원래는 수요량이 48로 증가해야 하는데, 외부효과에 의해 80까지 증가한다. 즉 외부효과에 의해 가격 하락으로 증가하는 양보다 더 많이 증가하게 된다. 부정적 네트..
[미시경제학] 4주차: 수요 현시선호 소비자가 하나의 장바구니를 선택하고, 그것이 다른 장바구니보다 비싸다면 소비자는 그 장바구니를 더 선호해야 한다. 한계효용(MU) 한계대체율(MRS) $X$ 재화를 늘릴 때 $Y$ 재화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가? = 무차별곡선의 미분계수 = $Y$ 재화 단위로 표시된 $X$ 재화의 한계 효용 = $X$ 재화를 하나 늘릴 때 늘어난 효용을 $Y$재화로 표현한 것 무차별 곡선 위에 있다 = $Y$가 줄고 $X$가 늘어도 효용 수준은 동일하다. $0 = MU_F(\Delta F) + MU_C(\Delta C)$ $\therefore\;\; MRS_{XY} = \frac{MU_X}{MU_Y}$: $Y$ 재화 단위로 표시된 $X$ 재화의 한계 효용 $(X^*, Y^*)$에서 효용이 극대화된다고 하자. (..
[미시경제학] 3주차: 소비자 행동 탄력성(Elasticity): 다른 변수의 1% 변화에 따른 어느 한 변수의 % 변화. 보통 가격 탄력성을 말함 -> 1이면 똑같이 변하는 것 수요곡선 $Q=a-bp$ 각 점마다 탄력성이 모두 다르다. * 탄력성은 percentage change -> 기울기와는 다르다 수요의 탄력성 탄력성은 위로 올라갈수록 커지고, 중간에서는 1이고, 아래로 갈수록 작아진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항상 음수기 때문에 절댓값을 씌우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탄력성은 양수기 때문에 음수여도 그냥 절댓값 씌웠다 치면 됨 수요의 점 탄력성: 특정 지점에서의 탄력성 수요의 호 탄력성: 가격 범위를 고려한 탄력성 장기와 단기, 소비재(비내구재)와 내구재 탄력성이 다 다름 소비재: 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은 단기일 때 작고 장기일 때 더 ..
[미시경제학] 2주차: 공급과 수요 공급량과 수요량, 공급과 수요 공급량과 수요량 가격 변화에 따라 이동: 곡선 상에서의 움직임 공급과 수요 가격 이외의 다른 요인의 변화에 따른 변화 이동: 곡선의 이동 대체재와 보완재 대체재: 아이폰과 갤럭시 아이폰의 가격 상승 -> 갤럭시 수요 증가 아이폰의 수요가 갤럭시의 수요로 대체됨 이 재화의 가격 상승이 저 재화의 수요 증가로 이어짐 보완재: 프린터와 토너 토너의 가격 상승 -> 프린터의 수요 하락 토너가 비싸지니까 그와 관련된 프린터를 안 쓰게 됨 이 재화의 가격 상승이 저 재화의 수요 감소로 이어짐 시장 메커니즘 $P 공급부족 $P > P^E$ -> 공급과잉 균형(시장 청산 가격)가격: $Q^D = Q^S$인 가격 완전경쟁시장에 가까울수록 수요공급곡선으로 더 잘 설명된다. ..
[미시경제학] 2주차: 시장과 가격 미시경제학의 주제 1) 미시경제학은 개별 경제단위(소비자, 기업, 노동자, 투자자, ...)의 행위와 이들로 구성된 시장을 다룬다. 노동자: 노동시장의 공급자 투자자: 자본시장의 공급자 소비자와 기업: 상품시장 *정부 교구, 교재, 교과서의 수요자(정해진 업체에서 만들고, 정부가 그걸 사서 배분) 도로, 병원, 학교, 항만의 공급자 기금(= 적금) VS 예산(보통예금) -> 투자자 => '정부'라고 안 하고 역할로 구분한다 어느 시장에 참여하냐에 따라 이름이 달라질 뿐 * 개별 주체에게는 최적의 선택이지만 사회 전체로는 비효율적일 수 있다. Ex) 콘서트장에서 앞자리 사람이 일어나면? 그 사람에게는 최적화, 그러나 앞에서 일어나면 전체가 일어나서 불편하게 관람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는 비효율적 2) 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