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1 시장과 경쟁

1. 시장


시장(market)은 특정한 재화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사람들의 모임을 말한다.


구매자들은 하나의 집단으로서 상품에 대한 수요를 결정하고,

판매자들 역시 하나의 집단으로서 상품의 공급을 결정한다.


시장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예를 들어 곡물시장은 소비자와 판매자가 일정한 시각에 일정한 장소에서 만나 경매인의 도움으로 가격을 결정하고 거래한다.


그러나 곡물시장처럼 체계적으로 조직된 시장은 많지 않다.

우리 동네의 과자 시장을 예로 들겠다. 마트, 슈퍼, 편의점 등 여기저기에서 과자를 조금씩 팔고 있다. 각 판매처에서는 가격을 써 붙여 놓고 나같은 소비자는 과자를 어디서 얼마나 구매할지 결정한다. 이는 경매인의 도움으로 가격을 결정하고 거래하는 곡물시장의 모습과 상이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자 소비자와 공급자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과자 소비자는 다양한 과자 가게 중에서 선택하고, 과자 가게들은 그 소비자들에게 과자를 

하나라도 더 팔려고 노력한다. 비록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있지 않아도 과자 소비자와 

과자 공급자는 하나의 시장을 형성하는 것이다.


참고로 시장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수요자 수

공급자 수

Ex

(완전) 경쟁 시장

많다

많다

독점 시장

많다

1

전력

과점 시장

많다

적다(보통 2~5)

자동차

독점적 경쟁 시장

많다

많다

음식(짜장면, 햄버거, )


음식의 경우 음식마다 특유의 맛이 있기 때문에 독점적이지만,

수요자는 다른 곳에서 같은 음식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경쟁적이기도 하다.





2. 경쟁


많은 시장들이 그렇듯, 과자 시장은 경쟁이 심하다. 

소비자들은 과자 가게가 여러 군데 있다는 것을 알고, 

판매자들도 자신과 유사한 상품을 파는 곳이 많다는 것을 안다.

결과적으로 과자의 가격과 판매량은 한 명의 소비자 또는 판매자가 아니라 

시장에 참여한 전체 소비자와 전체 판매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이런 시장을 ⒜경쟁시장이라 한다.


4장에서는 시장이 완전경쟁시장이라고 가정한다. 

완전경쟁시장은 판매되는 재화가 동일하고소비자와 판매자가 너무 많아서

개별 소비자와 판매자가 가격에 영향을 전혀 미치지 못 하는 시장을 말한다. 

따라서 완전경쟁시장에서 소비자와 판매자는 모두 가격 수용자(price taker)다.

소비자는 시장 가격에서 원하는 만큼 살 수 있고,

판매자는 시장 가격에서 원하는 만큼 팔 수 있다.


실제로도 이런 시장이 있다. 바로 밀 시장이다.

밀 시장에서는 수천 명의 농부가 밀을 팔려고 하고, 수백만 명의 소비자가 밀을 사려고 한다.

따라서 농부 한 명, 소비자 한 명은 밀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고 시장 가격을 수용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시장은 많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전경쟁시장을 가정하는 것은

여러 유형의 시장 중 가장 단순하기 때문이다.




⒜경쟁시장(competitive market): 소비자와 판매자가 매우 많아 개별 소비자 또는 공급자가 시장 가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시장


'Economics > 경제학 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3 공급  (0) 2019.03.17
4.2 수요  (0) 2019.03.12
3.2 절대우위와 비교우위  (0) 2019.03.10
3.1 상호 의존관계  (0) 2019.03.09
2.1 과학자로서의 경제학자  (0) 2019.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