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잡한 현실을 단순화해 나타낸다: 관련이 없는 세부사항들은 제거한다.
- 왜 경제모형인가?
ⓐ 경제변수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 경제의 행태를 설명한다
ⓒ 경제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을 마련한다
수요와 공급
Demand: $Q^d = D(P, Y)$
-> 수요는 가격과 총소득의 함수
Supply: $Q^s = S(P, P_m)$
-> 공급은 가격과 재료가격의 함수
Q. 소득이 증가하면 자동차 가격은 어떻게 될까?
소득 증가 -> 수요 증가 -> 균형 수량 및 가격 상승
Q. 철강 가격이 상승하면 자동차 가격은 어떻게 될까?
철강 가격 상승 -> 자동차 생산 감소 -> 자동차의 균형 가격 상승, 수량 감소
변수
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 모형 안에서 결정쇠는 변수 = 모형이 설명하려는 변수
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 모형 밖에서 결정되는 변수 = 주어진 변수
$P,\; Q^d,\; Q^s$: 내생변수
$Y,\; P_s$: 외생변수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는 모형은 없다: 다른 문제를 해결하려면 다른 모형을 써야 한다
Ex) 자동차 시장 모형은 총소득이 감소하는 이유를 알려주지 않는다
신축적 가격 VS 비신축적 가격
시장 청산: 가격이 신축적으로 움직여 수요와 공급이 불일치한다는 가정
비현실적: 대부분의 노동 계약은 1년동안 명목임금을 고정한다.
단기(가격이 비신축적(=경직적)) -> 수요와 공급에 변화에 의해 조정된다
장기(가격이 신축적) -> 시장이 청산된다.
Q. 얼마나 길어야 장기인가?
구체적인 수치(3개월, 1년, ...)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격의 신축성에 의해 결정된다.
비신축적, 그 정도로 짧은 기간 -> 단기
신축적, 그 정도로 긴 기간 -> 장기
* 미시경제학에서는 생산요소가 모두가 가변일 경우 장기, 일부가 고정일 경우 단기로 구분한다.
거시경제학에서는 가격의 신축성으로 구분한다.
'강의노트 > 거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학] 3주차: 국민소득 (0) | 2021.03.19 |
---|---|
[거시경제학] 2주차: 실업률 (0) | 2021.03.15 |
[거시경제학] 2주차: CPI (0) | 2021.03.15 |
[거시경제학] 2주차: GDP (0) | 2021.03.14 |
[거시경제학] 1주차 (1): 거시경제학의 중요한 논제 (0) | 2021.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