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Inflation): 전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것
인플레이션율(Inflation rate): 인플레이션을 %로 나타낸 것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
대표 재화 및 서비스 (묶음)을 선정해 물가를 측정한다
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물가를 측정하지 않는가?
모든 가격의 평균을 계산할 경우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균등하게 취급하게 된다.
그러나 더 많이 사는 물건에 더 많은 가중치를 둬야 한다.
1. 전형적인 소비자가 구입하는 재화의 basket 구성을 조사한다.
2. 매월 그 재화의 가격을 수집해 basket 비용을 계산한다.
3. 특정 월의 CPI는 (해당 월의 basket 비용) / (기준 월의 basket 비용)으로 계산된다.
이 때 가중치는 장바구니 구성 내에서 많이 사는 물건에 많이 부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장바구니가 우유 3개와 주스 5개로 구성될 때 기준년도를 2017년으로 한 CPI는
$CPI=\frac{(3 \times P^{Milk}_{Current}) + (5 \times P^{Juice}_{Current})}{(3 \times P^{Milk}_{2017}) + (5 \times P^{Juice}_{2017})}$
로 계산된다.
CPI vs. GDP Deflator
전반적인 물가의 지표라는 점은 같다.
CPI | GDP Deflator | |
자본재의 가격 | 제외 | 국내 생산품에 한해 포함 |
수입된 소비재 | 포함 | 제외 |
상품 basket | 고정 | 매년 달라짐 |
Ex) 우리나라 오렌지 농사가 흉년이라 다른 나라 오렌지를 비싸게 수입한 경우
오렌지는 CPI의 고정 Basket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CPI에는 영향을 주지만
수입된 소비재이므로 GDP Deflator에는 영향이 없다.
* 생산자물가지수와 PCE Deflator라는 물가지수도 있다
'강의노트 > 거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학] 3주차: 국민소득 (0) | 2021.03.19 |
---|---|
[거시경제학] 2주차: 실업률 (0) | 2021.03.15 |
[거시경제학] 2주차: GDP (0) | 2021.03.14 |
[거시경제학] 1주차 (2): 경제 모형 (0) | 2021.03.09 |
[거시경제학] 1주차 (1): 거시경제학의 중요한 논제 (0) | 2021.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