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시경제학] 2주차: CPI

인플레이션(Inflation): 전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것

인플레이션율(Inflation rate): 인플레이션을 %로 나타낸 것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

대표 재화 및 서비스 (묶음)을 선정해 물가를 측정한다

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물가를 측정하지 않는가?

모든 가격의 평균을 계산할 경우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균등하게 취급하게 된다.

그러나 더 많이 사는 물건에 더 많은 가중치를 둬야 한다.

 

1. 전형적인 소비자가 구입하는 재화의 basket 구성을 조사한다.

2. 매월 그 재화의 가격을 수집해 basket 비용을 계산한다.

3. 특정 월의 CPI는 (해당 월의 basket 비용) / (기준 월의 basket 비용)으로 계산된다.

 

이 때 가중치는 장바구니 구성 내에서 많이 사는 물건에 많이 부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장바구니가 우유 3개와 주스 5개로 구성될 때 기준년도를 2017년으로 한 CPI는

$CPI=\frac{(3 \times P^{Milk}_{Current}) + (5 \times P^{Juice}_{Current})}{(3 \times P^{Milk}_{2017}) + (5 \times P^{Juice}_{2017})}$

로 계산된다.

 

 

CPI vs. GDP Deflator

전반적인 물가의 지표라는 점은 같다.

 

  CPI GDP Deflator
자본재의 가격 제외 국내 생산품에 한해 포함
수입된 소비재 포함 제외
상품 basket 고정 매년 달라짐

Ex) 우리나라 오렌지 농사가 흉년이라 다른 나라 오렌지를 비싸게 수입한 경우

오렌지는 CPI의 고정 Basket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CPI에는 영향을 주지만

수입된 소비재이므로 GDP Deflator에는 영향이 없다.

 

* 생산자물가지수와 PCE Deflator라는 물가지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