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성(Elasticity): 다른 변수의 1% 변화에 따른 어느 한 변수의 % 변화. 보통 가격 탄력성을 말함
-> 1이면 똑같이 변하는 것
수요곡선
$Q=a-bp$
각 점마다 탄력성이 모두 다르다.
* 탄력성은 percentage change -> 기울기와는 다르다
수요의 탄력성
탄력성은 위로 올라갈수록 커지고, 중간에서는 1이고, 아래로 갈수록 작아진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항상 음수기 때문에 절댓값을 씌우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탄력성은 양수기 때문에 음수여도 그냥 절댓값 씌웠다 치면 됨
수요의 점 탄력성: 특정 지점에서의 탄력성
수요의 호 탄력성: 가격 범위를 고려한 탄력성
장기와 단기, 소비재(비내구재)와 내구재
탄력성이 다 다름
소비재: 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은 단기일 때 작고 장기일 때 더 큼
변화된 가격에 소비자들이 적응하면서 수요가 증가한다
내구재: 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은 단기일 때 크고 장기일 때 더 작음
단기)
자동차의 가격 하락 -> 자동차 수요 증가(신규 수요 + 교체 수요)
소득 증가 -> 자동차 수요 증가(신규 수요+교체 수요)
장기로 넘어가면
신규 수요 감소, 교체 수요만 유지 -> 수요 변화 감소 -> 탄력성 감소
어떻게 측정하는가?
다른 모든 요인은 통제된 상태에서 가격/소득의 변화가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
-> 현재의 변화가 쭉 가는 것
공급곡선
우상향 -> 기울기가 항상 양수
공급의 탄력성
장기와 단기, 소비재(비내구재)와 내구재
1차 가공 구리: 광산에서 나온 구리
2차 가공 구리: 버려진 구리로 새로 만든 거
1차 가공 구리: 가격탄력성은 단기가 작고 장기가 크다
가격 상승 -> 광산 개발 -> 광산 개발은 오래 걸림 -> 장기 탄력성이 큼
2차 가공 구리: 가격탄력성은 단기가 크고 장기가 작다
가격 상승 -> 폐기물 구입 -> 구리제품 공급 증가 -> 폐기물이 없음(= 원자재 공급 감소) -> 2차 구리 공급 감소
구리의 총공급은 장기가 더 큼 -> 1차 가공 구리 공급이 구리 시장에서의 비중이 크다
여기부터 3장
소비자행동
- 무차별곡선, 예산제약:
미시경제학의 대부분에 적용되는 내용
교수님피셜) 3장 중요
소비자는 Well-being(= 효용, 편익, 후생)의 극대화를 위해 다양한 재화와 서비스에 소득을 분배한다.
소비자 선호에 관한 기본가정
ⓐ 완비성: 선택장애 없음 -> 모든 가능한 장바구니에 대해 선호를 고를 수 있으며, 선호 간에 차별이 없음
ⓑ 이행성: A보다B를 선호하고 B보다 C를 선호하면 A보다 C를 선호함
ⓒ 다다익선: '재화는 좋은 것'이라 가정 -> 재화는 항상 많을수록 좋으며 소비자는 만족하거나 포만을 느끼지 않음
하나라도 늘어나면 전보다 더 좋은 것임. 얼마나 좋아지는 지는 안 중요함
* 재화가 영어로 Goods임을 생각하자.
비재화(Bads): 매연, 공해물질, etc.
무차별곡선(Indifference curve)
소비자에게 같은 수준의 만족을 제공하는 장바구니의 모든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
$A$는 $G$보다 두 재화 모두 많고, $E$는 $A$보다 두 재화 모두 많다. -> 선호도는 명백하게 $G \lt A \lt E$
$A$는 $D$와 같은 양의 재화를 갖지만 그 구성이 다름 -> 추가 정보 없이는 비교될 수 없다.
무차별곡선: (효용의 크기가 얼마든)효용의 크기가 같은 점을 연결한 것
-> 등효용선이라고도 함
무차별지도: 무차별곡선의 집합
곡선이 $U_1$보다 위에 있다면 $U_1$보다 높은 효용을 나타내는 곡선
효용의 절대적 크기보다는 어느 곡선이 상대적으로 더 큰 효용을 나타내는지가 중요하다.
무차별곡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무차별곡선의 정의는 '같은 효용을 나타내는 곡선'
당연히 교차하지 않는다.
한계대체율
무차별 곡선의 기울기.
식품 1 개를 얻고 옷 몇 개를 포기해야 하는가(효용이 유지되는가)?
$A \rightarrow B$: 식품 1개 = 옷 6벌
$E \rightarrow G$: 식품 1개 = 옷 1개
-> "한 재화를 늘리기 위해 다른 재화를 얼만큼 포기할 수 있는가?"
무차별 곡선이 아래로 볼록하다 = 한계대체율이 감소한다
한계대체율 체감 = 다양성을 선호한다
완전대체재: 다양성의 의미가 없다 -> 한계대체율이 일정하다
완전보완재: 왼쪽(오른쪽) 신발만 줘봤자 효용은 변함이 없음, 무조건 둘 다 있어야 함
왼쪽 곡선은 가속력을, 오른쪽 곡선은 실내공간을 중요시한다.
효용함수
효용: 주어진 시장바구니에 대해 소비자가 느끼는 만족감을 나타내는 수치
효용함수: 각 시장바구니의 효용수준을 나타내는 함수
Ex) $(F,C)= FC$: 재화 $F$와 재화 $C$로 구성된 시장바구니의 효용 수준을 나타낸 함수
시장바구니를 넣으면 효용 값이 나오는 거
서수적 효용함수: 상대 순위가 중요 - 최고에서 최저까지 장바구니에 순위를 매기는 효용함수
기수적 효용함수: $F(X,\;Y)$ = 효용수준 - 어느 한 장바구니가 다른 것보다 얼마나 선호되는지
예산제약
예산제약: 한정된 소득으로 인한 구매의 제약
예산선: 총지출=총소득인 모든 구매 조합의 집합
예산선: $P_FF + P_CC = I\;\;(for\; goods\;F\; and\; goods\; C)$
Ex) $F+2C=80,\;P_F=1,\; P_C=2$
$C=(\frac{I}{P_C})(\frac{P_F}{P_C})F$
*기울기는 상대가격이다.
예산선을 바꾸는 요인
ⓐ 소득의 변화(소득효과): 예산선의 수평 이동
ⓑ 가격의 변화(가격효과): 예산선이 절편을 중심으로 회전
일반적인 예산선: $P_XX+P_YY=I$
$P_YY=-P_XX+I$
$Y=-\frac{P_X}{P_Y}X+\frac{I}{P_Y}$
-> 예산선의 기울기는 상대가격이다.
소득효과: $I$의 증가 -> 절편 값 증가, 기울기는 그대로 -> 예산선의 수평이동
가격효과: $P_X$의 증가 -> 절편 값 그대로, 기울기 증가 -> 예산선이 절편을 중심으로 회전
소비자 선택
효용의 극대화를 위한 두 조건
ⓐ 예산선 안에 위치한다. (객관적 요소)
ⓑ 소비자가 선호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조합을 제공한다. (주관적 요소)
=> 극대화점에 접하는(기울기가 같은) 무차별곡선이 최선이다.
: 이 무차별곡선보다 더 큰 무차별곡선은 예산선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 조건에 위배된다.
무차별곡선의 기울기: 한계대체율(MRS)
=> 주어진 예산제약 하에서 만족도는 $MRS = \frac{P_F}{P_C}$일 때 극대화 된다.
효용은 한계편익이 한계비용과 같을 때 극대화 된다. 이 때 한계편익은 MRS로 측정된다.
$\frac{MU_X}{P_X}=\frac{MU_Y}{P_Y}$
$\frac{MU_X}{MU_Y} = \frac{P_X}{P_Y}$
모서리 해(Corner solution)
두 재화 중 하나만 소비해 만족을 극대화하는 경우
(모든 소비량 수준에서 한계대체율이 가격비율과 다를 때)
$B$에서 냉동 요구르트에 대한 아이스크림의 MRS는
냉동요구르트 가격 대비 아이스크림의 가격의 비율보다 더 크다.
'강의노트 >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경제학] 5주차: 외부효과 (0) | 2021.04.01 |
---|---|
[미시경제학] 4주차: 수요 (0) | 2021.03.25 |
[미시경제학] 2주차: 공급과 수요 (0) | 2021.03.11 |
[미시경제학] 2주차: 시장과 가격 (0) | 2021.03.11 |
[미시경제학] 에 필요한 미분적분학 (0) | 2021.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