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4%
본문 바로가기

[미시경제학] 4주차: 수요

현시선호

소비자가 하나의 장바구니를 선택하고, 그것이 다른 장바구니보다 비싸다면 소비자는 그 장바구니를 더 선호해야 한다.

 

 

한계효용(MU)

한계대체율(MRS)

X 재화를 늘릴 때 Y 재화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가?

= 무차별곡선의 미분계수

= Y 재화 단위로 표시된 X 재화의 한계 효용

= X 재화를 하나 늘릴 때 늘어난 효용을 Y재화로 표현한 것

 

무차별 곡선 위에 있다 = Y가 줄고 X가 늘어도 효용 수준은 동일하다.

 

0=MUF(ΔF)+MUC(ΔC)

: Y 재화 단위로 표시된 X 재화의 한계 효용

 

(X^*, Y^*)에서 효용이 극대화된다고 하자.

(예산선의 기울기) = \frac{P_X}{P_Y}

효용 극대화는 \frac{P_X}{P_Y} = \frac{MU_X}{MU_Y}에서 이루어진다.

\therefore\;\; \frac{MU_X}{P_X} = \frac{MU_Y}{P_Y}

 

 

한계치 균등의 원칙

소비자가 모든 재화에 대해 원 당 한계효용이 같도록 지출할 때 효용 극대화가 이루어진다.

= 효용 극대화는 \frac{MU_X}{P_X} = \frac{MU_Y}{P_Y}에서 이루어진다.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 효용곡선은 위로 볼록(이계도함수 < 0)

 

 

배급제도

재화가 배급되면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은 적게 이용하게 되어 이들의 만족도가 낮아진다.

 

휘발유 배급제

x축: 휘발유

y축: 그 외 다른 재화

 

원래대로면 5000갤런 쓸 건데(점 C) 배급제로 인해(휘발유 소비가 2000갤런으로 제한되어) D 점으로 이동함

-> 휘발유 배급제로 인해 무차별곡선이 U_2에서 U_1로 내려간다.

-> 효용 감소

 

최적화(효용 극대화, 비용 극소화, 이윤 극대화) 달성 => 효율성(생산적 효율성, 배분적 효율성)

 

생계비지수는 그냥 넘어가심

 

=============================여기부터 4장=============================

개별수요

가격변화

 

y축은 단위라 가격이 변하지 않음

(a)에서 다양한 식품 가격에 대응하는 효용 극대화를 달성하는 점(예산선과 무차별곡선의 접점)을 이으면

가격소비곡선: 가격이 변할 때 소비가 어떻게 변하는가

가격소비곡선에서 개별수요곡선이 도출됨

 

(b)(수요곡선): 가격이 바뀔 때의 효용 극대화 점 = 수요곡선의 모든 점은 효용 극대화 점

= 이 정도 가격 수준이면 나는 이 만큼을 쓸 때 효용이 극대화된다

= 수량이 이 정도일 때 이 재화는 나에게 이 정도의 가치(=가격)가 있다

 

가격소비곡선 -> 수요곡선 = (Good_F,\;Good_C) -> (F,\;P_F)

 

가격변화는 수요량을 변화시킴 -> 수요곡선을 그릴 수 있다

나머지 변화는 수요를 변화시킴 -> 수요곡선의 이동

 

 

 

소득변화

소득이 2배가 됨 -> 모든 재화를 2배씩 살 수 있게 됨 -> 예산선 수평이동

 

예산선의 기울기 = \frac{P_X}{P_Y}: 상대가격 -> 기울기는 불변

 

각 예산선마다 무차별곡선과의 접점을 이은 것: 소득소비곡선

 

소득소비곡선 -> 수요곡선 = (Goods_F,\;Goods_C) -> (F,\;P_F)

 

소득 변화 -> 소득소비곡선 도출 -> 수요곡선의 이동을 그릴 수 있다

 

 

가격 변화 -> 수요량 자체를 변화시킴 = 수요곡선 상의 이동

가격 이외의 모든 변화 -> 수요의 변화 = 수요곡선 이동

 

 

정상재와 열등재

정상재(Normal goods)

소득 증가에 따라 소비량이 증가하는 재화

 

열등재(Inferior goods)

소득 증가에 따라 소비량이 감소하는 재화

 

엥겔곡선(Engel curve)

소득수준 대비 재화의 수요량을 나타냄

y축은 소득, x축은 재화 수요량

 

엥겔곡선에서 우상향하면 정상재, 우하향하면 열등재

 

 

대체제와 보완재

대체재

한 재화의 가격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

 

보완재

한 재화의 가격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재화의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

 

독립재

한 재화의 가격 변화가 다른 재화의 수요량에 영향이 없는 경우 두 재화는 서로 '독립적'이라고 한다.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가격효과는 소득효과와 대체효과로 분해된다.

 

대체효과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재화를 더 구매하고, 비싸진 재화를 덜 구매함

: 면바지 값이 오르고 청바지 값이 내리면 청바지를 더 많이 사겠지

-> 무차별곡선 위에서의 이동(∵ 장바구니 구성의 변화)

 

소득효과

한 재화가 더 싸졌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실질구매력 향상을 느낌

: 더 적은 예산으로 같은 양의 재화를 살 수 있으므로 돈이 남음.

-> 무차별곡선의 수평이동(∵ 예산이 늘어난 것 같은 효과)

 

Total\;\; Effect(F_1, F_2)\; =\; Substitution\;\; Effect(F_1E)\; +\; Income\;\; effect(EF_2)

 

얼마나 변하는가?

재화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재화에 따라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크기가 다르므로)

 

 

정상재

대체효과: 곡선 상에서 (y축이 기준이므로)오른쪽으로 이동 + 소득효과: 오른쪽으로 곡선 이동

대체효과: +

소득효과: +

 

* 모든 재화의 대체효과는 +

정상재의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전체변화: A \rightarrow B

 

대체효과: A \rightarrow D

가상의 예산선을 그어 D 점을 얻는다.

이 예산선은

ⓐ 새로운 상대가격

ⓑ 기존의 소득수준(U_1) (소득수준 = 총효용: 소득이 바뀌면 총효용이 바뀌니까)

을 반영한다.

따라서 가상의 예산선과 U_1의 접점인 D로 이동한다.

 

소득효과: D \rightarrow B

 

 

 

열등재

대체효과: 곡선 상에서 (y축이 기준이므로)오른쪽으로 이동 + 소득효과: 왼쪽으로 곡선 이동

대체효과: +

소득효과: - => 전체 효과 하락

 

열등재의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따라서 열등재의 수요량은 정상재의 수요량보다 적게 증가한다(일부가 소득효과로 상쇄되므로).

 

* 기펜재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더 커서 결과적으로 수요량이 줄어드는 재화 ->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증가

대체효과: 곡선 상에서 (y축이 기준이므로)오른쪽으로 이동 + 소득효과: 왼쪽으로 곡선 이동

대체효과: +

소득효과: -

이런 건 잘 없음

Ex) 아일랜드 대기근 때 감자

감자가격은 떨어졌는데 수요량이 줄어듦: 감자만 먹고 못 살겠어서 다른 거 사먹음

 

 

조세정책

휘발유세를 걷었다가 그대로 환급해도 만족은 원래보다 줄어듦

(지출액) = (P + t)Q

 

조세정책

-> 상대가격변화 (예산선의 기울기 변화): 한 재화에만 세금이 붙으므로

-> 비자의 소비 행태를 바꾼다.

-> 세금을 환급해도 소비량이 바뀜

 

 

 

 

시장수요

시장수요곡선 = 개별수요의 수평합 = 주어진 가격에서의 수량을 모두 더한 것

-> ⓐ 소비자가 많아지면 시장수요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

    ⓑ 많은 소비자의 수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시장 수요에도 영향을 줌

 

수요의 가격탄력성: E_P=\frac{\frac{\delta Q}{Q}}{\frac{\delta P}{P}}=(\frac{P}{Q})(\frac{\delta Q}{\delta P})

= 가격이 1% 변할 때 수요는 몇 % 변하는가?

 

|E_P| < 1: 비탄력적 수요

|E_P| = 1: 단위 탄력적

|E_P| > 1: 탄력적 수요: 가격이 올라감에 따라 한 재화에 대한 총지출 감소

직선인 수요곡선의 가격탄력성

왜 직선인 수요곡선의 가격탄력성이 달라질까?

E_P = (\frac{P}{Q})(\frac{\delta Q}{\delta P})

에서 \frac{P}{Q}는 일정하다(직선이므로 기울기는 일정함).

그런데 Q가 작아지면 P가 커지므로 \frac{\delta Q}{\delta P}Q가 작아질수록 \infty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Q가 작아지면 가격탄력성은 커지고, Q가 커지면 가격탄력성은 작아지는 것이다.

 

 

등탄력적 수요곡선: 일정한 가격탄력성을 갖는 수요곡선

단위탄력적 수요곡선: 모든 가격에 대해 |E_P| = 1인 수요곡선

Ex) 밀의 총수요

국내 수요: Q_{DD} = 1430-55P

해외 수요: Q_{DE} = 1470-70P

세계 수요: Q_{DD} + Q_{DE} = (1430-55P) + (1470-70P) =  2900 - 125P

 

밀의 세계총수요는 국내수요(\overline{AB})와 수출수요(\overline{CD})의 수평합

그런데 \$21 이상이 되면 수출수요가 없으므로 세계총수요는 가격이 \$21인 점에서 굴절됨

 

 

투기적 수요: 재화를 소유/소비해서 얻는 직접적인 이득이 아닌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에 의한 수요

Ex) 주택 수요

 

<여기는 그냥 참고사항>

정부의 수단

1) 가격보조: 이자율, 임대료 지원,

2) 소득보조: 최저 임금 상승, 과세 표준, 공제  Ex) 기본소득

저출산: 아이를 키우려면 집(방)이 필요한데 구하기가 어려워서..

주택은 가격탄력성이 소득탄력성보다 높다 -> 가격보조 정책이 더 효과적

 

 

 

 

 

 

 

소비자잉여

(제품 소비로 얻는 이득) - (총구매비용)

 

지불용의가 가격보다 크면 소비자 잉여(남는 효용)가 생긴다.

 

시장 없이도 재화가 정의될 수 있다

노란색 삼각형은 대부분의 소비자가 $1000 이상을 지불할 용의가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소비자잉여다.

맑은 공기에 대한 시장은 없지만 청정지역에 살기 위해 사람들은 더 많은 비용을 기꺼이 지불한다.

여기서는 '질소산화물 오염 감소'가 재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