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시경제학] 5주차: 외부효과

네트워크 외부효과(Externality)

개별 수요가 다른 사람들의 구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황

 

시장수요 = 개별수요의 합

 

긍정적 외부효과: 다른 구매 증가 -> 개별 수요 증가 -> 시장수요 증가

부정적 외부효과: 다른 구매 증가 -> 개별 수요 감소 -> 시장수요 감소

가격 하락 -> 수요량 증가, 수요 증가

 

긍정적 네트워크 외부효과

다른 사람이 많이 쓰면 나도 쓰고 싶음(Bandwagon effect)

이 경우  개인의 재화 구매량은 다른 이들의 구매 증가에 따라 같이 증가한다.

 

$D_{40}$을 보자.

가격이 30에서 20으로 떨어지면 원래는 수요량이 48로 증가해야 하는데, 외부효과에 의해 80까지 증가한다.

즉 외부효과에 의해 가격 하락으로 증가하는 양보다 더 많이 증가하게 된다.

 

 

부정적 네트워크 외부효과 (속물효과)

다른 사람이 갖지 않는 독특한 재화를 갖고 싶어함(Snob effect)

Ex) 한정판, 명품

 

가격 하락 -> 수요량 증가, 수요 감소

 

 

가격이 30,000에서 15,000으로 떨어지면 원래는 수요량이 14로 떨어져야 하는데, 외부효과에 의해 8로 떨어진다.

즉 외부효과에 의해 가격 하락으로 증가하는 양보다 더 많이 증가하게 된다.

 

 

외부효과의 영향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이 증가한다.

수요는 외부효과에 의해 다음과 같이 움직인다.

 

긍정적 외부효과: 증가

부정적 외부효과: 하락

 

즉 가격이 하락했을 때 긍정적 외부효과는 수요곡선을 오른쯕으로 움직이게 하고,

부정적 외부효과는 수요곡선을 왼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 수요의 측정은 안 봐도 됨(이건 계량경제학)

 

 

 

수요에 대한 수학적 접근

라그랑지 승수법

하나 이상의 제약 조건에서 함수를 극대/소화 하는 기법

 

라그랑지 함수

라그랑주 승수법을 위해 구성하는 함수.

극대/소화되는 함수에 한 변수(라그랑지 승수) 제약조건의 곱을 더한 것이다.

 

$\Pi=U(X, Y) - \lambda(P_XX+P_YY - I)$

$U(X, Y)$는 효용함수를, $P_XX+P_YY - I$는 예산제약을 나타낸다.

 

위 함수를 변수 $X$, $Y$, $\lambda$에 대해 각각 편미분하면 3개의 방정식이 도출된다.

이걸 풀면 $MRS = \frac{P_X}{P_Y}$ -> 효용 극대화 조건이 나온다.

 

 

================================ 4장 끝 ================================

 

5장은 안 할 거임(기대수요에 관한 내용)

 

 

6장부터는 생산 내용

 

생산요소(투입물) -> 생산활동(주어짐) -> 생산(산출물)

 

기업의 생산결정

생산기술

생산요소가 어떻게 최종생산물로 변환되는가?

 

비용제약

기업 역시 한정된 예산의 제약을 받으므로 생산비 및 노동, 자본, 원재료 등의 가격을 고려한다.

 

생산요소의 선택

생산요소는 서로 교환될 수 있다. -> 각 생산요소를 얼마나 쓸 것인가?

Ex) 인부 100명에 포크레인 1대를 쓸까, 인부 50명에 포크레인 3대를 쓸까?

-> 상대적으로 더 싼 생산요소를 더 많이 쓴다.

 

 

기업은 왜 존재하는가?

노동자 100명과 100번 계약하지 않고 노동자 100명이 소속된 기업과 한 번만 계약할 수 있다.

->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 = 조정(Coordination)을 하기 위해

 

 

생산기술

생산요소

노동, 자본, 원료, etc.

 

노동: 숙련 근로자와 비숙련근로자, 경영자의 기업가적 노력

자본: 토기, 건물, 기계, 장비, 재고

원료: 최종 제품을 만들기 위해 구매하는 재화 Ex) 철, 플라스틱, 전기

 

 

생산함수

$q = F(K ,\; L)$: 주로 자본과 노동의 함수로 본다.

기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때 가능한 최대 생산량

= 낭비되는 생산요소는 없다

 

 

단기

하나 이상의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변화시킬 수 없는 기간

-> 고정생산요소가 있는 기간

 

 

장기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간

-> 고정생산요소가 없는 기간

 

 

변동생산요소가 노동 하나일 때

노동투입량이 일정 선을 넘으면 MPL(노동의 한계생산물)은 마이너스가 된다.

-> $MPL=0$이 될 때까지 노동을 추가투입한다.

 

노동의 평균생산물: $\frac{q}{L}$

노동의 한계생산물: $\frac{\Delta q}{\Delta L}$

 

평균생산물곡선

원점에서 그 점까지의 직선의 기울기

 

한계생산물곡선

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점 D를 지나면서 한계생산물이 평균생산물보다 작아진다.

즉 총생산량의 증가분이 감소한다.

그러다 점 C가 되면 총 생산량이 감소하는데, 이는 노동 투입량이 9보다 커지면 한계생산물이 음이 되기 때문이다.

(노동의 한계수확체감)

 

한계수확체감의 법칙

다른 생산요소가 고정된 상태에서 한 생산요소를 추가할 때 생산량의 증분은 계속 감소한다.

-> (한계생산물 = 0)에서 생산량 극대화

 

 

 

기술발전

기술이 발전하면 같은 노동투입량으로 더 많이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노동의 수확 체감 현상이 더 많은 투입량에서 나타난다

즉 원래는 MPL이 음이 되던 투입량에서 노동생산성이 증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