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생산성
산업 전체 혹은 경제 전체로 본 노동의 평균생산물: $\frac{Q}{L}$
노동생산성을 증가시키려면 자본량(Stock of capital)을 늘린다(물적자본, 인적자본 둘 다 해당).
쉽게 말해 포크레인이 많아지고 교육 수준이 올라가면 노동생산성이 증가함
기술 변화: 생산요소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왜 자본생산성이라는 말은 잘 안 쓰는가?
노동자가 임금을 받고 소비를 함
임금은 노동자의 생산성에 비례함: 임금은 생산성에 직결됨
생산함수
$Q = F(L, K) = AL^{\alpha}K^{1-\alpha}$
$A$: 상수
$\alpha: 0 \leq \alpha \leq 1$인 상수. 관측을 통해 정할 수 있다.
변동생산요소가 둘일 때의 생산
노동과 자본 둘 다 변동될 때
등량곡선
동일한 생산량을 주는 생산요소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타낸 것 -> 무차별곡선과 같은 형태
등량곡선지도
$A \rightarrow B$:자본이 3단위일 때 노동을 1단위에서 2단위로 늘리면 생산량이 20 늘어남
$B \rightarrow C$:자본이 3단위일 때 노동을 2단위에서 3단위로 늘리면 생산량이 15 늘어남
한계수확 체감의 법칙
한 생산요소를 늘리다 보면 더이상 생산량이 증가하지 않는 시점이 온다.
그러면 그 생산요소를 다른 생산요소로 대체함
Ex) 그동안 사람을 계속 고용했지만 이제는 로봇으로 사람이 대체되는 추세임
Ex) 전환하는 과정에서 실업률이 단기적으로 증가함
기술적한계대체율(Marginal rate of technical substitution, $MRTS$)
① 생산량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② 한 생산요소를 1단위 더 사용할 때
③ 줄일 수 있는 다른 생산요소의 사용량
$MRTS =-\frac{\Delta K}{\Delta L}$
Proof.
등량곡선을 따라 이동하므로 총 생산량은 일정해야 한다.
$(MP_L)(\Delta L) + (MP_K)(\Delta K) = 0$
$\frac{MP_L}{MP_K} = -\frac{\Delta K}{\Delta L}$
$Hence\;\;proved.$
한계대체율이 2다 = 노동 1단위는 자본 2단위의 역할을 함
$cf.$
무차별곡선의 기울기 = $MRS$
= $-\frac{\Delta Y}{\Delta X}$
= $\frac{MU_X}{MU_Y}$
특수한 등량곡선
MRTS가 일정한 경우
고정비율 생산함수
(노동과 자본의 조합에서 두 생산요소의 비율이 일정한 경우)
Ex) 택시 + 택시기사
택시 3대 있어봤자 기사가 1명이면 소용없음 -> 무조건 택시 1대, 기사 1대로 매치돼야 함
* MRTS에 - 부호가 붙는 이유
등량곡선의 기울기는 음수인데 대체율은 양수로 나타내려고
규모에 대한 수확(returns to scale)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이 똑같은 비율로 증가할 때 생산량이 증가하는 비율
규모에 대한 수확체증(increasing returns to scale): $f(K,\; L)=Q \;\;\rightarrow\;\; f(2K,\;2L) \;>\; 2Q$
규모에 대한 수확불변(constant returns to scale): $f(K,\; L)=Q \;\;\rightarrow\;\; f(2K,\;2L) \;=\; 2Q$
규모에 대한 수확체감(decreasing returns to scale): $f(K,\; L)=Q \;\;\rightarrow\;\; f(2K,\;2L) \;<\; 2Q$
오른쪽 그림의 경우 생산요소 투입량이 두 배보다 적은데 생산량은 두 배가 됐음
-> 투입량이 직선에 따라 증가하면 등량곡선의 간격이 좁혀진다.
=================까지 6장
'강의노트 >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경제학] 7주차: 장기비용,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1) | 2021.04.15 |
---|---|
[미시경제학] 6주차: 생산비용 - 단기비용 (0) | 2021.04.08 |
[미시경제학] 5주차: 외부효과 (0) | 2021.04.01 |
[미시경제학] 4주차: 수요 (0) | 2021.03.25 |
[미시경제학] 3주차: 소비자 행동 (0) | 2021.03.18 |